분류 전체보기 98

2025년 여름을 준비하며,,,,

참으로 오랫만에 몇자 적어 봅니다.전기안전관리자 여러분 안녕하세요?요즈음은 비상발전기의 용량에 관계없이,모든 발전기가 한국전기안전공사의 정기검사를 받아야 하기에,더 더욱 바빠졌지요?검사 전에, 꼭 점검을 하시어, 검사에 차질이 없도록 하시길 바랍니다.용량에 관계없이 점검 사항은 똑 같으니,사전에 언급한 비상발전기의 점검사항 내용을 정독하시길 바랍니다.그리고, ATS의 점검도, 꼭 필요합니다!절체는 못하더라도, 타이머와 릴레이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곡 확인을 하세요!!회로에 따라 다를 수는 있지만,대부분, 한전의 타이머와 릴레이는, 항상 온(ON)상태가 되어야 합니다.10년이상 사용하였으면, 교체용을 준비하여,정기검사 때에 교체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생각합니다. 참고하세요!!세진발전기산업사 장사엽( ..

카테고리 없음 2025.06.10

2024년을 마무리 하면서,,,,,

전기안전관리자 여러분!  반갑습니다.항상 전기설비의 안전관리를 위해 노력하시는,여러분의 노고를 잊지 않겠읍니다.올 한해도, 수고 많으셨읍니다.내년에도 역시, 한순간도 방심하지 말고,내가 맡은 설비의 안전관리에 최선을 바랍니다.특별히, 비상전원설비(비상발전기, UPS, 정류기반, 그 외 비상용 전원설비)는점검이나, 고장, 수리, 교체는, 미리미리 준비하거나.많은 정보를 습득하시길 바랍니다.저도 전기기술인의 한사람으로,수전설비의 보안담당자로서 경험자이니까요.비상연락망을 각 부분(파트)별로 항상 챙기시길 바랍니다. 본 블로그에 올려져있는 내용을 한번 읽어 보면,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그래도 더 필요하다면,비상전원설비에 관한 기술문의는 발전기 병원과 수리박사로 연락주세요!최선을 다하겠읍니다!!!감사합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4.12.23

비상발전기의 점검 시운전 관리

전기안전관리담당자 여러분!!  안녕하세요?어느해 보다도, 더 무더웠던 여름이, 서서히 물러나는것 같군요!올해는, 태풍이 이제부터 시작이 되는것 같은데,항상 비상사태를 준비해야 되겠네요!!비상발전기의 점검, 시운전, 정류기반의 예비밧데리의 전압 및 상태 점검,특고압 수전부분의  발열, 이상음, 외부상태 등을 면밀히 살펴보세요!!안전은 항상 우선이니까요!지금이 바로 점검 할 시간입니다. 내일로 미루지 마세요!!기타 상세한 사항은 이미 기술한 내용을 참고하세요!!! 세진발전기산업사  장사엽(H/P: 010-3502-7009.)

카테고리 없음 2024.08.19

비상발전기의 시운전 !! 확인하세요!!

전기안전관리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올해는 6월부터 더위가 일찍와서 연일 한여름의 더위가 극성이네요. 전기실의 온도가 많이 올라가고 있죠? 선풍기로 변압기에 바람을 직접 불어대는 것 보다는, 환풍기를 이용하여, 전기실내를 최대한 환기를 시켜서, 전기실의 온도를 낮추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요즈음은 돌발 혹은 순간정전이 잦아서, 비상발전기의 시운전을 정기적인 주기보다 앞당겨서 수시로 확인 하시길 바랍니다. 시동용 밧데리도 설치한지 3년이 지났다면, 아까워말고 바꾸세요. 그리고 연료탱크의 연료량도 확인하시고, 라디에터의 냉각수량도 확인하세요. 시운전은 5분에서 10분이면 충분합니다. 그리고 ACB TYPE의 발전기는 ACB의 투입 및 차단도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미리미리 준비하고, 확인하여, 비상사태에 ..

카테고리 없음 2022.07.14

밧데리의 교체주기는?

전기안전관리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밧데리의 교체주기가 많이 궁금하시죠? 표시창의 색깔도 파란데?, 누구는 3년? 누구는 5년? 과연 누구의 말이 맞을까요? 결론은 사용빈도(충방전 회수)와 충전조건 등 사용조건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무보수형(로켓트의 RP형, 델코의 HICA형, 아트라스의 ITX형 등) 산업용 밧데리의 사용조건은 3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늦어도 3년반이 경과되기 전에 교체를 하여야 합니다. 조금 더 사용하려다가, 밧데리가 폭발하여 주변의 장비나 기계가 부식되거나 고장으로 못쓰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답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매3년마다 받는 한국전기안전공사의 정기검사를 받기전에 밧데리(발전기용 2개 혹은 4개, 정류기반용 9개)를 교체하고 검사를 받으시는것이 적당..

카테고리 없음 2022.04.18

비상발전기의 관리 점검.

전기안전관리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어느덧 벛꽃이 만발한 4월이네요! 비상발전기의 점검을 다시한번 더 확인하세요. 예열히터의 전원을 끄시고(단, DDC엔진은 사계절 끄지마세요.) 냉각수, 연료, 엔진오일의 량을 확인하시고, 밧데리의 설치년월을 확인하시어, 3년이 경과하였으면 교체를 바랍니다. 아울러, 정류기반의 밧데리도 확인하세요!! 일반적으로 밧데리의 수명은 3년정도이며, 늦어도 4년이내에 교체하시길 바랍니다. 더 궁금한 사항은 언제라도 문의하시면, 자세히 안내를 해드리겠습니다. 세진발전기산업사 장사엽 (H/P:010-3502-7009.)

카테고리 없음 2022.04.02

비상발전기 점검 요령

* 비상용 디젤엔진발전기 점검 요령 * *. 운전 전 점검사항. - 발전기를 운전하기 전, 다음 사항을 필히 점검해야 하며, 이상이 없을 때에 1주일에 10분 이상, 적어도 1개월에 2회이상 부하시운전 및 점검을 하여야 한다. 1) 엔진오일의 점검 * 엔진오일은 점검게이지의 레벨이 HIGH-LOW 사이에 있는지 확인하고, 부족시에는 보충한다. * 엔진오일은 디젤엔진용을 사용한다.( EX : 고성능 디젤용 CG-4급 15W/40 --EX) SD-5000G.) * 엔진오일의 점도가 너무 낮거나 높을 때에는 즉시 교환하여야 한다. * 엔진오일의 교환 주기 : 매 3년마다 교환.( 오일휠터, 연료휠터, 공기휠터, 냉각수휠터 포함 ) 2) 엔진냉각수의 점검 * 라디에터의 캡을 열고, 냉각수가 OVER FLOW까지..

카테고리 없음 2021.10.27

동절기를 준비하는....

벌써 10월의 마지막날을 앞두고 있네요!!! 전기안전관리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11월 부터는 동절기를 준비하여 미리미리 점검과 예방을 준비하여 안전한 년말을 보냅시다. 비상발전기의 점검과 수전반의 점검을 꼼꼼하게 하시길 바랍니다. 비상발전기의 엔진오일, 연료, 밧데리(수명기준:3년), 냉각수(히터스위치: ON)의 점검과 외관상 누유, 누수를 확인 해야지요! 그리고, 수전반에는 AISS 및 정류기반의 밧데리도 교체주기를 확인하고, 예비휴즈도 준비를 해야겠지요! 물론 변압기의 외관점검으로 누유부분이 없는지, 발열정도는 어떤지, 각종차단기나 부스바의 접속부분의 발열정도도 확인하고요... 참고로 비상발전기의 점검안내문도 올려드립니다... 세진발전기산업사 장 사 엽(053-558-7009. 650-7000. 0..

카테고리 없음 2021.10.27

2021년 여름을 맞이하면서.....

블로그를 방문하신 방문자 및 전기안전관리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벌써 여름이 시작되는 것 같네요!! 여름이 되면 더위와 싸워야하는 분도 있지만, 휴가를 가기위해 기다리는 분도 있겠지요!! 하지만, 우리 전기안전관리자는 전기설비의 안전관리를 위해 긴장도 하고, 점검도 철저히 하여, 안전한 여름을 준비하는 것이 당연하겠지요? 첫번째는 전기실의 환기를 점검하세요! 대다수는 전기실의 변압기 발열에 대비하여, 선풍기로 직접 바람을 불어서 과열을 방지하는데... 그보다는 전기실 전체의 환기가 더 효과적이며, 일정온도가 되면 자동으로 환기를 시키는 휀의 작동이나, 더 좋은 것은 에어콘의 가동이 되면 효과적이지요!! 물론, 부하율이나 평년의 작동상황 조건(과부하나 이상조건이 아닌 조건)에서 입니다. 두번째는 비상발전기..

카테고리 없음 2021.06.20

비상발전기 점검안내문

안녕하세요? 전기안전관리자 여러분!! 귀하의 비상발전기세트와 정류기반 관리에 애로사항은 없는지요? 장마철과 태풍, 동절기의 동파, 돌발로 인한 정전사태에 대비하여, 전기안전관리경험이 풍부한‘세진발전기산업사’에서, 귀하의 비상발전기세트와 정류기반을 무상으로 점검하여 드립니다! 귀하의 동반자가 되어 드립니다. Ⓢ 세진발전기산업사 대표 장 사 엽 (H/P:010-3502-7009.) 대구광역시 서구 큰장로 23길 12. (대표전화:053-558-7009.FAX:554-7009.) * 비상발전기 점검요령 * - 발전기를 운전하기 전에 다음의 사항을 필히 점검하여야 하며, 이상이 없을 때에 1 주일에 10분 이상, 적어도 1 개월에 2 회 이상 부하시운전 및 점검을 하여야 한다. 1) 엔진오일의 점검 -- * 엔..

카테고리 없음 2020.09.22